-
[ 목차 ]
1> 프로그램 한눈에 보기 – “경기도에서 일하면, 복지포인트 120만 원!”
‘경기도 청년 복지포인트’는 도내 중소‧중견기업·소상공인 업체·비영리법인에서 땀 흘리는 청년 노동자에게 1년간 총 120 만 원(분기별 30 만 원)의 복지포인트를 선물하는 제도예요. 영화‧여행‧건강관리 등 스스로를 돌보는 데 쓸 수 있도록 전용 온라인몰(경기청년복지몰)에 포인트를 넣어 주는 방식이라, “월급은 생활비로 빠듯한데 문화·자기계발 비용까지 챙기기 힘들다”는 현장의 목소리를 따뜻하게 보듬고 있어요. 2025년에는 예산을 확대해 연간 총 2 만 명(차수별 1 만 명)을 뽑고, 신청 절차를 마이데이터 연동으로 간소화해 서류 부담을 확 줄였답니다.
2>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? – 지원 자격·모집 규모·일정
구분 | 주요 기준 | 비고 |
연령 | 만 19 ~ 39 세 | 병역 기간만큼 최대 3 년 연장 |
거주지 | 주민등록상 경기도 | 신청일 기준 |
근무 조건 | 경기도 소재 중소·중견기업, 소상공인, 비영리법인 재직 & 주 36 시간↑ 근무 | 국가‧지자체·공공기관 재직자는 제외 |
소득 기준 | 최근 6 개월 평균 직장 건강보-험료 12만 7,195 원 이하(월 급여 약 359만 원) | 4대 보-험 미가입자도 가능 |
모집 차수 : 1차 (6 월 1 ~ 13 일), 2차 (8월 예정), 3차 (10월 예정)로 세 번 문을 열어 총 2만 명을 선발해요. 차수마다 건강보-험료가 낮은 순으로 뽑고, 동점이면 근속 기간·경기도 거주 기간 등을 살펴요.
결과 발표 : 1차 기준 7 월 9 일 누리집 공지 후 개별 SMS 발송, 미선정자에게도 예비순번을 알려 줘요.
3> 받는 혜택 – 연 120 만 원, 어디에 어떻게 쓰나요?
● 지급 구조 : 선정 직후 30 만 원, 이후 3·6·9 개월마다 30 만 원씩 총 4회 충전(연 120 만 원). 경기청년복지몰 마이페이지에서 잔액을 확인할 수 있어요.
● 사용 분야
▷문화·여가 – 영화·공연·전시 예매권, 서점·음반몰, 캠핑장·놀이공원 이용권
▷ 자기계발 – 학원·온라인 강의, 자격증 시험 응시료, 전문 서적
▷ 건강관리 – 스포츠 용품, 건강검진·도수치료·필라테스·수영강습권, 건강기능식품
▷ 가족친화·생활편의 – 육아용품, 주방가전, 반려동물 용품, 집안 대형가전 렌털료
▷ 여행·레저 – 국내 숙박·패키지, KTX/SRT 철도권, 테마파크 티켓
온라인몰 내 “상품권” 카테고리에서 전국 온·오프라인 브랜드 e-쿠폰(배달·영화·서점 등)으로 교환도 가능해요.
꼭 기억!
● 포인트는 현금화·양도 불가예요. 사용 기간(4개 분기) 안에 모두 쓰지 못한 잔액은 소멸돼요.
● 회차별 충전일로부터 6 개월 안에 80% 이상 써야 다음 충전이 이뤄지니 분기별로 나눠 알뜰히 계획을 세워보세요.
4> 신청부터 선정까지 – 단계별 준비물과 체크리스트
● 회원가입 & 본인인증
‘청년 노동자 지원사업’ 누리집(youth.jobaba.net) → 간편 로그인(공동인증서·PASS 등)
● 자격 자동조회(마이데이터)
주민등록초본·건강보-험 자격득실·납부확인·4대 보-험 가입내역은 마이데이터 동의 1회로 자동 첨부돼요. 직접 올리고 싶다면 PDF 스캔 파일 제출도 가능!
● 근무확인서·사업자등록증
HR팀·대표에게 받아 ‘회사 정보’ 란에 업로드(최근 1개월 이내 발급분).
● 중복 참여·참여 제외 여부 확인
‘청년 노동자 통장·중소기업 청년 노동자 지원사업·청년연금’ 현재 참여 중이면 신청이 어려워요. 단, 청년내일저축계좌·내일채움공제 등 국가 자산형성사업은 중복 가능!
● 제출 완료 → 접수번호 확인
수정은 접수 마감 전까지만 가능, 마감 직전엔 트래픽이 몰려요. 첫 주 주말·새벽 시간대가 비교적 수월해요.
● 선정 뒤 6개월 단위 자격검증
거주지·근무지·근무시간·보-험료 변동이 있으면 지원이 중단될 수 있어 꼭 유지해 주세요.
5> 따뜻한 활용 팁 & 자주 묻는 질문
● 포인트로 부담 덜고 “나를 위한 소비 계획표” 만들기
☞ 분기마다 문화 10 만 원 + 운동 10 만 원 + 교육 10 만 원 식으로 예산을 짜두면 깜빡하고 잔액을 날리는 일을 막을 수 있어요.
● 필라테스·체형교정 강사님도 가능!
☞ 4대 보-험 미가입 프리랜서라서 걱정이셨다면, 사업장과 근무계약서만 있으면 신청할 수 있어요. “주 36시간 이상·건보료 기준”만 충족하면 되거든요.
● 회사 사정으로 휴직하면?
☞ 육아·병가 등으로 직무휴직에 들어가면 자격 유지가 끊길 수 있어요. 1개월 이상 휴직이 예상될 땐 관할 일자리재단 콜센터(1577-0014)로 미리 문의해 주세요.
● 포인트가 ‘소득’으로 잡히나요?
☞ 복지포인트는 급여가 아닌 ‘경영자 복리후생비’로 처리돼 개인 소득세·4대 보-험료 부담이 없어요(단, 사용 내역은 국세청에 신고돼 기타소득공제 대상이 아니니 연말정산 입력은 생략!).
● 1차에 떨어졌는데 다시 신청 가능?
☞ 물론이죠! 차수별 선발이 독립적이라 2차·3차 때 재도전해도 불이익이 없어요.
▲ 마음을 담아 마무리
바쁜 하루 속에서도 자기 돌봄은 미루기 쉽죠. 경기도 청년 복지포인트는 “일터‧집‧통장 사이에서 지친 청년의 어깨”에 1년에 120만 원이라는 작은 휴식을 얹어 줍니다. 영화 한 편, 좋은 책, 필라테스 수업 한 시간, 건강검진으로 나를 챙길 때마다 “내가 하는 일과 땀방울을 도(道)가 기억하고 있다”는 든든함이 전해졌으면 합니다. 올 여름에는 신청 버튼 하나로 새로운 활력을 선물해 보세요. 따뜻한 응원 보냅니다! 💚